한글이란?
우리나라 고유의 글자. 음소 문자인데 그보다 더 발전된 자질 문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세종 대왕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이르는 명칭이다. 1446년 반포될 당시에는 28자모(字母)였지만, 현행 한글 맞춤법에서는 24자모만 쓴다.
우리글인 훈민정임. 한글은 세종 28년(1446년)에 訓民正音(가르칠 훈,백성 민, 바를 정, 소리 음)이라는 이름으로 반포된 속칭 언문, 반절등의 이름으로 불렀다. 그러나 이런 이름은 모두 당시의 사대부들의 쓰던 한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추어 부르는 말이었다. 그 뒤 갑오경장 이후로는 국문이라고 일컬었으나 특정 언어에 대한 명칭이라기 보다는 그저 우리나라 글이라는 뜻으로 쓰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우리글을 한글이라고 처음 이름 붙이기는 국어학자 주시경 선생이 1913년에 신문관 발행의 어린이 잡지에 집필한 글에서 가로 글씨의 제목으로 한글이라고 표기한 것이 처음이다. 그러나 이 이름이 널리 인식되지는 못하다가 1927년 2월부터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동인지로 창간된 국어국문 연구 잡지가 한글이라는 제호를 달고 월간으로 발행되었다. 또 그전 년에 창설했던 훈민정음 기념일의 명창인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해마다 계속되는 동시에 신문, 잡지 및 강연회 강습회를 통하거나 한글 맞춤법 통일안(1993)의 보급에 의하여 한글이란 이름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한글의 뜻은 글 중에 가장 큰 글, 글 중에 오직 하나인 좋은 글, 온 겨레가 한결같이 쓴 글, 글 중에서 가장 바른 글 결함이 없이 원만한 글 이란 뜻들을 겸한 것이다.
한글 명칭의 유래
한글이란 명칭은 1910년에 최남선, 주시경 등이 언문이나 조선문자라는 명칭 대신에 고안하였다고 합니다. 한글의 한은 우리 겨레를 가리키는 韓(나라이름 한), 외에 大(큰 대)의 뜻도 지닌 말로 직접적으로는 大韓帝國(대한제국)의 韓과 연관되고 멀리는 三韓(석 삼, 나라이름 한) 의 韓과 연관됩니다. 우리말과 우리글은 갑오경장 이후 국어, 국문으로 불리었으나 1910년 국권이 상실된 이후에는 이 말을 쓸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정에서 주시경은 1910년에 국어, 국문 대신에 한나라 말과 한나라 글이란 말을 만들어 썼으며 그 후 한나라 말을 줄인 한말 우리 겨레의 말글이란 뜻의 배달말 글 이란 용어를 사용하다가 1913년부터 한글이란 말을 사용하였습니다. 1927년 동인지 한글이 간행되고 가갸날이라고 부르던 훈민정음 반포일이 차차 한글날로 불리면서 한글이 우리 문자의 이름으로 보편화 되었습니다.
✅ 맞춤법? 어떤 문자로써 한 언어를 표기하는 규칙. 또는 단어별로 굳어진 표기 관습.
✅ 한글날 10월9일.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그시대 글을 제대로 배울 수 없던 국민을 위해 쉬운 한글을 창제 해주신거서에 대해 감사함을 잊지 않아야겠습니다.
한글이 없었다면 저는 아마 글을 쓰고 있을 수 없었을것입니다. 한자는 너무 어렵기 때문이죠. 😂
저 역시도 맞춤법을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소한 글자도 많고 헷갈리는 글도 너무 많은 것 같아요. 틀린 건 다시 바로 잡으면 됩니다. 지나다니는 글들을 보며 아, 이글이 이렇게 쓰는 거였구나 하면서 오늘 하루도 많이 배우며 지나가나는것 같네요. 국민 50%가 틀린다는 맞춤법 10가지 모음을 준비해보았어요. 아 이말이 이렇게 쓰여야 한다고? 하시는 부분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요즘 더욱이 글을 쓸 곳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전화보다는 문자, 카카오톡,SNS 사용으로 말하기보다 쓰기가 더 많아졌죠. 소리 내어 말할 때는 헷갈리지 않았던 단어도 손으로 쓰다 보면 이게 맞나? 왜 어색해 보이지? 싶을 때가 한두번이 아닌 거 같아요. 작은 것이라도 하나 더 배워가는 즐거움이 있으실 거라 생각 듭니다.
국민 50%가 틀린다는 맞춤법 10가지 모음
- 구렛나루 vs 구레나룻
구레나룻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귀밑에서 턱까지 난 수염을 뜻하는 말.
- 멋쩍다 vs 멋적다
멋쩍다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어색하고 쑥스럽다를 뜻하는 말.
예문: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 설레임 vs 설렘
설렘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설레다의 올바른 명사형은 설렘.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림. 또는 그런 느낌.
예문: 기다림은 사람을 설레게 한다.
- 재떨이 vs 재털이
재떨이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담뱃재를 떨어 놓는 그릇을 뜻하는 말.
예문: 꽁초는 재떨이에 버려 주십시오.
- 헬쑥하다 vs 핼쑥하다
핼쑥하다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얼굴에 핏기가 없다를 뜻하는 말.
예문: 그녀는 핼쑥한 얼굴에 가까스로 웃음을 담아 나를 바라보았다.
- 움크리다 vs 웅크리다
웅크리다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몸 따위를 움츠러 들이다를 뜻하는 말.
유의어·반의어 ➡ 도사리다, 옹그리다, 옹송그리다
예문: 그녀는 새우처럼 몸을 웅크렸다.
- 금새 vs 금세
금세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지금 바로라는 뜻으로 금시에가 줄어든 말.
- 어느새 vs 어느세
어느새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어느 틈에 벌써를 뜻하는 말.
예문: 입학한 지가 어제 같은데 어느새 졸업이다.
- 대갚음 vs 되갚음
대갚음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남에게 입은 은혜나 당한 원한을 그대로 갚음을 뜻하는 말.
예문: 아까의 흉잡혔던 대갚음을 하였다.
✅ 되갚음, 대갚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남에게 입은 은혜나 남에게 당한 원한을 잊지 않고 그대로 갚음(갚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은 대갚음(대갚음하다)으로 쓰며, 이와 비슷한 뜻을 가진 말로 갚음/갚음하다가 있습니다.
- 곁땀 vs 겨땀
곁땀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을 뜻하는 말.
예문: 운동을 하면 곁땀이 많이 난다.
새롭게 알아가신 부분이 있으실까요? 이 글을 쓰는 저 또한 배워가는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삶에 있어 무엇이든 배워가는 거는 좋은거라 생각하는데요. 내가 원하고자 하는, 모든것에 공부를 하는건 평생 내가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오늘 저는 하나 더 배워가는거 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정보를 필요로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산 막창 맛집 대구반야월막창 일산서구점 (0) | 2022.07.19 |
---|---|
A형남자가 여자를 좋아할 때 행동, 성격 (0) | 2022.07.14 |
국민 50%가 틀린다는 맞춤법 10가지 모음 (0) | 2022.07.12 |
인천 동구 송현동 묵은지닭볶음탕 맛집 (0) | 2022.07.11 |
MBTI란 무엇인가? 나의 성격유형 알아보기 (0) | 2022.07.08 |